20세기 혁신 신약은 마법의 탄환으로 불린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이었다. 그리고, 21세기 가장 혁신적인 신약은 '킴리아'라는 이름으로 등장했다. 기존 것을 완전히 바꾸어 새롭게 만든 것. 단 한 번 투여로 완치까지 기대하는 원샷 치료제 킴리아는 혁신 그 자체였다. 기적, 꿈이라 불렸고 '희망'의 또 다른 이름이었다.세계 최초 맞춤형 항암제 '킴리아(Kymriah, 티사젠렉류셀)'는 지난 2021년 3월 국내 허가됐다. 첨단재생의료바이오법 1호로 새로운 원샷 치료제 시대를 열었다. 작년 4월 1일에는 건강보험급여 적용으로 비급여
국내 폐암 환자 10명 중 4명은 4기에 진단된다. 이미 암이 다른 장기로 전이돼 완치를 의미하는 5년 생존율 10%에 불과한 경우가 40% 이상이라는 뜻이다.5년 생존율이 보여주듯 폐암은 국내 암 사망률 1위다. 더구나 전이성 폐암에서 '마(磨)의 1년 생존'을 넘어설 수 없었다. '마'라는 한자어는 극복하기 어려운 장벽을 뜻한다. 폐암 치료에서 이 장벽을 넘어서는 과정은 인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투쟁(鬪爭)'이었다.4기 비소세포폐암 치료에서 인간이 이 벽을 처음으로 넘어설 수 있게 한 치료제가 항 PD-1 면역항암제 '키트루
계묘년(癸卯年) 새해, 만성 C형 감염치료제 끝판왕으로 불리는 '엡클루사(소포스부비르/벨파타스비르)'와 DAA 치료 실패 환자를 위한 재치료제 '보세비'가 미충족 수요를 해결할 '듀오'로 떠올랐다.과거 만성 C형간염은 발병 초기 특별한 증상이 없는 방치할 경우 간경변증, 간암 등으로 진행돼 심하면 사망에 이를 정도였다. 치료 조차 쉽지 않았던 환경을 획기적으로 바꾼 것은 경구용 직접 작용 항바이러스제(Direct-acting Antiviral, DAA)의 등장이다.지난 2015년 국내 치료 시장에 DAA제제가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항응고제를 복용한다. 지난 2003년 비판막성 심방세동을 진단받아서다. 비판막성 심방세동은 심장이 제대로 수축하지 못하는 대표적인 부정맥이다. 혈액응고 장애를 일으켜 혈전 또는 뇌졸중 위험을 높인다. 바이든 대통령이 질환 예방 목적에서 복용하는 항응고제는 '엘리퀴스(아픽사반)'로 알려졌다.세계 최고 권력자가 복용할 만큼 효능과 안전성을 검증받은 엘리퀴스다. 영국 시장조사기관 이밸류에이트파마(EvaluatePharma)는 앞으로 매출 성장세가 기대되는 의약품으로 엘리퀴스를 꼽았다. 2020년 이후 연평균 약
지난 2015년 당뇨병 치료제 자디앙(엠파글리플로진)은 제약업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SGLT-2억제제 기전 중 처음으로 심혈관질환 치료제 가능성을 제시하면서다.자디앙이 SGLT-2억제제 역할을 확대할 수 있었던 것은 지난 2015년, 2021년, 2022년 발표한 3건의 주요 임상을 통해서다.심혈관계 질환 동반 제 2형 당뇨 환자에서 임상적 혜택을 입증한 자디앙은 현재 당뇨병과 관계없이 사용 가능한 만성 심부전 치료제로 자리잡고 있다.▶당뇨에서 심부전으로, EMPA-REG OUTCOME지난 2015년 EMPA-REG OUTCOME
'마일로탁(겜투주맙오조가마이신)'이 CD33 양성 급성골수성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이하 AML) 치료에서 완전 관해로 이르는 환경을 만들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CD33 양성 AML 환자는 관해유도를 목적으로 하는 표준치료요법 시 약 30% 환자가 재발을 겪는다. 표준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재발인 경우 다른 치료 옵션을 찾아야 한다. 제약·의료계는 그 해법으로 항체-약물결합체(Antibody Drug Conjugate, ADC)를 주목하고 있다. CD33 항원을 표적하는 ADC 제제를 사용했을 때
지난 17일 방한한 사우디 아라비아의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 겸 총리는 재산만 2조달러(약 2800조원)에 달한다. 막대한 부와 권력을 가져 '미스터 에브리씽(모든 것을 할 수 있는 남자)'이라고 불리는 그의 일거수일투족(一擧手一投足)이 화제였다.방한 당시 국내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된 것이 또 있다. 바로 빈 살만 왕세자의 'M자형 탈모'였다. 지난해 국내 탈모 환자는 약 24만3000명으로 추산된다. 의료계에 따르면 잠재적 환자를 더하면 1000만 명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빈 살만 왕세자의 탈모가 온라인을 달궜던 이유
건선은 치료가 어렵고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는 난치성 질환으로 악명 높다. 효과적인 치료법을 찾기 위한 다양한 시도에도 의료진과 환자들의 좌절은 반복돼야 했다. 그러나 '인생 백년에 고락이 상반'이다. 괴로움과 즐거움이 반반이므로 삶에 대한 희망을 잃지 않는 방법이 없는 것도 아니다.최근 미국, 영국 등 해외에서는 건선 치료 가이드라인 목표를 '거의 깨끗한 피부'에서 한 단계 나아간 '완전히 깨끗한 피부 개선'으로 제시하고 있다. 건선 환자들이 생각하는 최종 치료 목표인 "깨끗하게 개선한 피부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에 빠르고 효과적
지난 2017년 국내 출시된 '베믈리디(테노포비르 알라페나미드 헤미푸마르산염)'는 간염치료제 개발 명가(名家) 길리어드 포트폴리오 중에서도 B형간염 분야에 방점을 찍은 제품이다.올해로 국내 출시 5년을 맞은 지금, B형간염 치료 필수 약제로 자리잡으며 성공적으로 세대교체를 끝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존 치료제 대비 적은 용량으로 비열등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이며, 신기능과 골밀도에 미치는 부담을 줄여 뼈·신장에서 장기 안전성을 입증한 실력 덕분이다. 주목할 점은 모두 국내 처방 현장에서 쌓은 '리얼월드 데이터'라는 점.올해부터는 초치
미국FDA와 릴리는 21일(현지시각) 암종을 불문하고 RET 유전자 융합 변이를 가진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성인 환자 2차치료에 레테브모(셀퍼카티닙)를 승인한다고 밝혔다. 앞서 전신 치료를 받았으나 재발하거나, 만족할 만한 대체 치료가 없는 경우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FDA는 지난 2020년 5월 신속승인을 통해 진단 검사에서 RET 변이 유전자 융합을 확인한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세소폐암(NSCLC) 성인 환자 치료 적응증을 표준승인으로 전환했다. 비소세포폐암 치료에서 암종 불문 신속승인과 표준승인을 모두 받은 첫